대한민국 U-20 축구 국가대표팀

덤프버전 : (♥ 0)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현 U-20 국가대표팀의 체제에 대한 내용은 김은중호 문서
김은중호번 문단을
김은중호# 부분을
, 여자 U-20 대표팀에 대한 내용은 대한민국 여자 U-20 축구 국가대표팀 문서
#s-번 문단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 펼치기 · 접기 ]
||
[ 펼치기 · 접기 ]
#555555,#ABABAB
||<table align=center><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191919><width=25%> [[파일:괌 기.svg|width=50]] ||<width=25%> [[파일:네팔 국기.svg|width=25]] ||<width=25%> [[파일: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svg|width=50]] ||<width=25%>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50]] || ||<rowbgcolor=#f0f0f0,#2d2f34> [[괌 축구 국가대표팀|괌]] || [[네팔 축구 국가대표팀|네팔]] || [[대만 축구 국가대표팀|대만]] ||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대한민국]] || || [[파일:동티모르 국기.svg|width=50]] || [[파일:라오스 국기.svg|width=50]] || [[파일:레바논 국기.svg|width=50]] || [[파일:마카오 특별행정구기.svg|width=50]] || ||<rowbgcolor=#f0f0f0,#2d2f34> [[동티모르 축구 국가대표팀|동티모르]] || [[라오스 축구 국가대표팀|라오스]] || [[레바논 축구 국가대표팀|레바논]] || [[마카오 축구 국가대표팀|마카오]] || ||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width=50]] || [[파일:몰디브 국기.svg|width=50]] || [[파일:몽골 국기.svg|width=50]] || [[파일:미얀마 국기.svg|width=50]] || ||<rowbgcolor=#f0f0f0,#2d2f34> [[말레이시아 축구 국가대표팀|말레이시아]] || [[몰디브 축구 국가대표팀|몰디브]] || [[몽골 축구 국가대표팀|몽골]] || [[미얀마 축구 국가대표팀|미얀마]] || || [[파일:바레인 국기.svg|width=50]] || [[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width=50]] || [[파일:베트남 국기.svg|width=50]] || [[파일:부탄 국기.svg|width=50]] || ||<rowbgcolor=#f0f0f0,#2d2f34> [[바레인 축구 국가대표팀|바레인]] || [[방글라데시 축구 국가대표팀|방글라데시]] || [[베트남 축구 국가대표팀|베트남]] || [[부탄 축구 국가대표팀|부탄]] || || [[파일:북마리아나 제도 기.svg|width=50]] || [[파일:북한 국기.svg|width=50]] || [[파일:브루나이 국기.svg|width=50]] ||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width=50]] || ||<rowbgcolor=#f0f0f0,#2d2f34> [[북마리아나 제도 축구 국가대표팀|북마리아나 제도]] || [[북한 축구 국가대표팀|북한]] || [[브루나이 축구 국가대표팀|브루나이]] || [[사우디아라비아 축구 국가대표팀|사우디아라비아]] || || [[파일:스리랑카 국기.svg|width=50]] || [[파일:시리아 국기.svg|width=50]] || [[파일:싱가포르 국기.svg|width=50]] ||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width=50]] || ||<rowbgcolor=#f0f0f0,#2d2f34> [[스리랑카 축구 국가대표팀|스리랑카]] || [[시리아 축구 국가대표팀|시리아]] || [[싱가포르 축구 국가대표팀|싱가포르]] || [[아랍에미리트 축구 국가대표팀|아랍에미리트]] || || [[파일:아프가니스탄 국기.svg|width=50]] || [[파일:예멘 국기.svg|width=50]] || [[파일:오만 국기.svg|width=50]] || [[파일:요르단 국기.svg|width=50]] || ||<rowbgcolor=#f0f0f0,#2d2f34> [[아프가니스탄 축구 국가대표팀|아프가니스탄]] || [[예멘 축구 국가대표팀|예멘]] || [[오만 축구 국가대표팀|오만]] || [[요르단 축구 국가대표팀|요르단]] || ||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width=50]] || [[파일:이라크 국기.svg|width=50]] || [[파일:이란 국기.svg|width=50]] || [[파일:인도 국기.svg|width=50]] || ||<rowbgcolor=#f0f0f0,#2d2f34> [[우즈베키스탄 축구 국가대표팀|우즈베키스탄]] || [[이라크 축구 국가대표팀|이라크]] || [[이란 축구 국가대표팀|이란]] || [[인도 축구 국가대표팀|인도]] || ||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width=50]] || [[파일:일본 국기.svg|width=50]] || [[파일:중국 국기.svg|width=50]] || [[파일:카타르 국기.svg|width=50]] || ||<rowbgcolor=#f0f0f0,#2d2f34> [[인도네시아 축구 국가대표팀|인도네시아]] || [[일본 축구 국가대표팀|일본]] || [[중국 축구 국가대표팀|중국]] || [[카타르 축구 국가대표팀|카타르]] || || [[파일:캄보디아 국기.svg|width=50]] || [[파일:쿠웨이트 국기.svg|width=50]] || [[파일:키르기스스탄 국기.svg|width=50]] || [[파일:타지키스탄 국기.svg|width=50]] || ||<rowbgcolor=#f0f0f0,#2d2f34> [[캄보디아 축구 국가대표팀|캄보디아]] || [[쿠웨이트 축구 국가대표팀|쿠웨이트]] || [[키르기스스탄 축구 국가대표팀|키르기스스탄]] || [[타지키스탄 축구 국가대표팀|타지키스탄]] || || [[파일:태국 국기.svg|width=50]] || [[파일:투르크메니스탄 국기.svg|width=50]] || [[파일:파키스탄 국기.svg|width=50]] || [[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width=50]] || ||<rowbgcolor=#f0f0f0,#2d2f34> [[태국 축구 국가대표팀|태국]] || [[투르크메니스탄 축구 국가대표팀|투르크메니스탄]] || [[파키스탄 축구 국가대표팀|파키스탄]] || [[팔레스타인 축구 국가대표팀|팔레스타인]] || || [[파일:필리핀 국기.svg|width=50]] || [[파일:호주 국기.svg|width=50]] || [[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width=50]] || ||<rowbgcolor=#f0f0f0,#2d2f34> [[필리핀 축구 국가대표팀|필리핀]] || [[호주 축구 국가대표팀|호주]] || [[홍콩 축구 국가대표팀|홍콩]] || ||<-4><bgcolor=#f7f7f7,#191919><color=#191919,#FFFFFF> [[아시아 축구 연맹|[[파일:아시아 축구 연맹 로고.svg|height=14]]]] [[틀:아시아축구연맹 회원국|남자]] · [[틀:아시아축구연맹 회원국(여자)|여자]] · [[틀:아시아축구연맹 회원국(풋살)|풋살]] | [[아프리카 축구 연맹|[[파일:아프리카 축구 연맹 로고.svg|height=20]]]] [[틀:아프리카축구연맹 회원국|남자]] · [[틀:아프리카축구연맹 회원국(여자)|여자]] · [[틀:아프리카축구연맹 회원국(풋살)|풋살]][br][[북중미카리브 축구 연맹|[[파일:북중미카리브 축구 연맹 로고.svg|height=20]]]] [[틀:북중미카리브축구연맹 회원국|남자]] · [[틀:북중미카리브축구연맹 회원국(여자)|여자]] · [[틀:북중미카리브축구연맹 회원국(풋살)|풋살]]|[[남미 축구 연맹|[[파일:남미 축구 연맹 로고.svg|height=20]]]] [[틀:남미축구연맹 회원국|남자]] · [[틀:남미축구연맹 회원국(여자)|여자]] · [[틀:남미축구연맹 회원국(풋살)|풋살]][br][[오세아니아 축구 연맹|[[파일:오세아니아 축구 연맹 로고.svg|height=20]]]] [[틀:오세아니아축구연맹 회원국|남자]] · [[틀:오세아니아축구연맹 회원국(여자)|여자]] · [[틀:오세아니아축구연맹 회원국(풋살)|풋살]] | [[유럽 축구 연맹|[[파일:유럽 축구 연맹 로고.svg|height=20]]]] [[틀:유럽축구연맹 회원국|남자]] · [[틀:유럽축구연맹 회원국(여자)|여자]] · [[틀:유럽축구연맹 회원국(풋살)|풋살]] || ||<-4><bgcolor=#f7f7f7,#191919> [[틀:세계 축구 주요 리그 및 대표팀/둘러보기 틀|전세계 리그 및 대표팀 보기]] ||

||

||
[ 펼치기 · 접기 ]

#555555,#aaaaaa ||<-2><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B090C>
[[나이키|[[파일:나이키 로고.svg|align=left&width=25]]]][[대한축구협회|[[파일: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align=right&width=20]]]][br][[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1 {{{#!html <span style="text-shadow: 0.5px 0px #F2AFB9, 0px 0.5px #F2AFB9, -0.5px 0px #F2AFB9, 0px -0.5px #F2AFB9, 0.5px 0.5px #F2AFB9, 0.5px -0.5px #F2AFB9, -0.5px -0.5px #F2AFB9C, -0.5px 0.5px #F2AFB9; color:#0B090C">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br][br]
|| ||<tablebgcolor=#fff,#191919><bgcolor=#000> '''{{{#FEE134 남자}}}''' ||<bgcolor=#000> '''{{{#FEE134 여자}}}''' || ||<bgcolor=#fff,#191919>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000,#f05174 '''남자 축구 국가대표팀'''}}}]] ||<|2><bgcolor=#fff,#191919> [[대한민국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000,#f05174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 ||<bgcolor=#fff,#191919> [[대한민국 U-23 축구 국가대표팀|{{{#000,#f05174 '''남자 U-23 대표팀'''}}}]] || ||<bgcolor=#fff,#191919> [[대한민국 U-20 축구 국가대표팀|{{{#000,#f05174 '''남자 U-20 대표팀'''}}}]] ||<|2><bgcolor=#fff,#191919> [[대한민국 여자 U-20 축구 국가대표팀|{{{#000,#f05174 '''여자 U-20 대표팀'''}}}]] || ||<bgcolor=#fff,#191919> [[대한민국 U-17 축구 국가대표팀|{{{#000,#f05174 '''남자 U-17 대표팀'''}}}]] || ||<bgcolor=#fff,#191919> [[대한민국 풋살 국가대표팀|{{{#000,#f05174 '''남자 풋살 대표팀'''}}}]] ||<|2><bgcolor=#fff,#191919> [[대한민국 여자 U-17 축구 국가대표팀|{{{#000,#f05174 '''여자 U-17 대표팀'''}}}]] || ||<bgcolor=#fff,#191919> [[대한민국 유니버시아드 축구 국가대표팀|{{{#000,#f05174 '''남자 유니버시아드 대표팀'''}}}]] || {{{-1 [[대한축구협회|{{{#!html <span style="text-shadow: 0px 0px #000, 0px 1px #000, -1px 0px #000, 0px -1px #000, 1px 1px #000, 1px -1px #000, -1px -1px #000, -1px -1px #fff; color:#ffffff">대한축구협회}}}]] | {{{-1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역대 스쿼드|{{{#!html <span style="text-shadow: 0px 0px #000, 0px 1px #000, -1px 0px #000, 0px -1px #000, 1px 1px #000, 1px -1px #000, -1px -1px #000, -1px -1px #fff; color:#ffffff">역대 스쿼드}}}]] | [[틀: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유니폼 역사|{{{#!html <span style="text-shadow: 0px 0px #000, 0px 1px #000, -1px 0px #000, 0px -1px #000, 1px 1px #000, 1px -1px #000, -1px -1px #000, -1px -1px #fff; color:#ffffff">역대 유니폼}}}]] |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응원가|{{{#!html <span style="text-shadow: 0px 0px #000, 0px 1px #000, -1px 0px #000, 0px -1px #000, 1px 1px #000, 1px -1px #000, -1px -1px #000, -1px -1px #fff; color:#ffffff">역대 응원가}}}]] | [[대한축구협회/BI/엠블럼|{{{#!html <span style="text-shadow: 0px 0px #000, 0px 1px #000, -1px 0px #000, 0px -1px #000, 1px 1px #000, 1px -1px #000, -1px -1px #000, -1px -1px #fff; color:#ffffff">역대 엠블럼}}}]] | [[파주 NFC|{{{#!html <span style="text-shadow: 0px 0px #000, 0px 1px #000, -1px 0px #000, 0px -1px #000, 1px 1px #000, 1px -1px #000, -1px -1px #000, -1px -1px #fff; color:#ffffff">파주 NFC}}}]]}}} }}}


파일: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파일: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폰트.svg
역대 우승 기록
||
[ 펼치기 · 접기 ]
||
[ 펼치기 · 접기 ]

순서우승국우승연도우승 횟수
1파일: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대한민국1956, 1960★★
2회
2파일:이스라엘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이스라엘[1]1964
1회
3파일:이란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이란1968, 1972, 1976★★★
3회
4파일:Kuwait_FA.png쿠웨이트1980
1회
5파일:사우디아라비아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사우디아라비아1984, 1988, 1996★★★
3회
6파일:일본 축구 국가대표팀 엠블럼.svg일본1992, 2000, 2004, 2011★★★★
4회
7파일:Iraq_National_Team_Badge.png이라크2007
1회
8파일:호주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호주2015
1회
9파일:카타르 축구 협회 로고.svg카타르2019
1회
[1] 1976년 AFC에서 축출, 현재는 UEFA 소속.


||
[ 펼치기 · 접기 ]

순서우승 국가첫 우승 연도최근 우승 연도우승 횟수
1파일:대한민국 국기.svg대한민국2003년2019년★★★★★
5회
2파일:중국 국기.svg중국2005년2010년★★
2회
3파일:일본 국기.svg일본2013년2022년★★
2회


파일:아시안 게임 로고.svg
#!wiki style="margin:0px;margin-top:-4px;margin-bottom:-0px;padding:0px"
{{{#!wiki style="margin:0px;margin-top:-2px;margin-bottom:-7px;padding:0px"
하계 아시안 게임 축구 우승 국가}}}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FFFFFF 10%, #F6C21A 30%, #F6C11A 50%, #F3961D 70%, #F06120 90%, #ED2B23)"
#!wiki style="color: #d88900; margin: 0 -10px -5px"
[ 펼치기 · 접기 ]

파일: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파일: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폰트.svg
역대 참가 대회
||
[ 펼치기 · 접기 ]


[ 펼치기 · 접기 ]

대회대표팀AFC 아시안컵 본선 경기
탈락
김정남호말레이시아 · 카타르 · 쿠웨이트 · 아랍에미리트 · 북한 · 쿠웨이트[결승]
문정식호사우디아라비아 · 쿠웨이트 · 시리아 · 카타르[조별리그(10강)]
이회택호아랍에미리트 · 일본 · 카타르 · 이란 · 중국 · 사우디아라비아[결승]
탈락
박종환호아랍에미리트 · 인도네시아 · 쿠웨이트 · 이란[8강]
허정무호중국 · 쿠웨이트 · 인도네시아 · 이란 · 사우디아라비아 · 중국[3·4위전]
본프레레호요르단 · UAE · 쿠웨이트 · 이란[8강]
베어벡호사우디아라비아 · 바레인 · 인도네시아 · 이란 · 이라크 · 일본[3·4위전]
조광래호바레인 · 호주 · 인도 · 이란 · 일본 · 우주베키스탄[3·4위전]
슈틸리케호오만전 · 쿠웨이트전 · 호주전 · 우즈베키스탄전 · 이라크전 · 호주전[결승]
벤투호필리핀 · 키르기스스탄 · 중국 · 바레인 · 카타르전[8강]
[각주]
[각주]

[결승] A B C [조별리그(10강)] [8강] A B C [3·4위전] A B C

[ 펼치기 · 접기 ]

대회대표팀올림픽 축구 본선 경기
김정남호소련 · 미국 · 아르헨티나
[1]김삼락호모로코 · 파라과이 · 스웨덴
비쇼베츠호#1996 애틀랜타 올림픽가나 · 멕시코 · 이탈리아
허정무호스페인 · 모로코 · 칠레
김호곤호그리스 · 멕시코 · 말리 · 파라과이[8강]
박성화호카메룬 · 이탈리아 · 온두라스
홍명보호멕시코 · 스위스 · 가봉 · 영국 · 브라질 · 일본[3·4위전]
신태용호피지 · 독일 · 멕시코 · 온두라스[8강]
김학범호뉴질랜드 · 루마니아 · 온두라스 · 멕시코[8강]
[각주]
[각주]

[1] U-23 규정 신설[8강] A B C [3·4위전]

[ 펼치기 · 접기 ]

대회대표팀아시안 게임 본선 경기
김정남호인도 · 바레인 · 중국 · 이란 · 인도네시아 · 사우디아라비아[우승]
박종환호싱가포르 · 파키스탄 · 중국 · 쿠웨이트 · 이란 · 태국[1]
비쇼베츠호네팔 · 오만 · 쿠웨이트 · 일본 · 우즈베키스탄 · 쿠웨이트[2]
허정무호투르크메니스탄 · 베트남 · 대한민국 · 아랍에미리트 · 쿠웨이트 태국전[8강]
[3]박항서호몰디브 · 오만 · 말레이시아 · 바레인 · 이란 · 태국[4]
베어벡호방글라데시 · 베트남 · 바레인 · 북한 · 이라크 · 이란[5]
홍명보호북한 · 요르단 · 팔레스타인 · 중국 · 우즈베키스탄 · 아랍에미리트 · 이란[6]
이광종호말레이시아 · 사우디아라비아 · 라오스 · 홍콩 · 일본 · 태국 · 북한[우승]
김학범호바레인 · 말레이시아 · 키르기스스탄 · 이란 · 우즈베키스탄 · 베트남 · 일본[우승]
[각주]
[각주]

[우승] A B C [1] 1:0 승 3위[2] 1:2 패 4위[8강] [3] U-23 규정 신설[4] 3:0 승 3위[5] 0:1 패 4위[6] 4:3 승 3위



}}}



||


파일: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대한민국 U-20 축구 국가대표팀
Korea Republic U-20 National Football Team
FIFA 코드 KOR
축구 협회 대한축구협회 (KFA)
대륙 연맹 아시아 축구 연맹 (AFC)
지역 연맹 동아시아 축구 연맹 (EAFF)
홈 구장 서울월드컵경기장 (66,704석)
감독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이창현 (임시)
주장단
C
이승원 (LEE Seung-Won)
VC
이영준 (LEE Young-Joon)
[ 대표팀 기록 보기 ]

최다 출전 조영욱 (46경기)
최다 득점 조영욱 (21골)
첫 국제경기 출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vs
파일:태국 국기.svg

태국 0:2
(말라야 연방 쿠알라룸푸르 / 1959년 4월 19일)
최다 점수차 승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vs 파일:괌 기.svg 28:0
(베트남 호찌민시 / 2007년 11월 6일)

[ 대회별 성적 보기 ]

세계 대회
월드컵 [진출] 16회
[최고] 파일:트위터 은메달 이모지.svg(2019)
대륙대회
아시안컵[진출] 39회
[최고] 파일:트위터 금메달 이모지.svg12회[1]

[1] 1959, 1960, 1963, 1978, 1980, 1982, 1990, 1996, 1998, 2002, 2004, 2012

유니폼 원정
상의
파일:나이키 로고.svg파일: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빨간색 로고.svg

파일:나이키 로고 화이트.svg파일: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검은색 로고 (흰색 글자).svg

하의

파일: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빨간색 로고.svg파일:나이키 로고.svg

파일: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검은색 로고 (흰색 글자).svg파일:나이키 로고 화이트.svg
양말

유니폼 골키퍼 1 골키퍼 2 골키퍼 3
상의파일:나이키 로고.svg파일: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검은색 로고.svg


파일:나이키 로고.svg파일: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검은색 로고.svg


파일:나이키 로고 화이트.svg파일: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검은색 로고 (흰색 글자).svg


하의
파일: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검은색 로고.svg파일:나이키 로고.svg

파일: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검은색 로고.svg파일:나이키 로고.svg

파일: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검은색 로고 (흰색 글자).svg파일:나이키 로고 화이트.svg
양말

1. 개요
2. 상세
3. 역대 감독
3.1. 현 대표팀 및 감독
4. 주요 국제 대회별 기록
5. 같이보기
6. 국가별 전적



1. 개요[편집]


대한민국의 20세 이하 축구 국가대표팀. 현재 감독은 김은중. 성인 대표팀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처럼 해당 연령대인 20세 이하의 대륙 선수권 대회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자주 볼 수 있는 아시아의 강호로 꼽히며 차기 성인대표팀에서 주축으로 활약할 가능성이 높은 자원이 많이 배출되는 편이다.

2. 상세[편집]


U-20 대표팀의 경우 U-17 대표 팀에 비해서 결과를 내는 역량이 아시아에서만큼은 매우 출중하다. 일단 AFC U-20 아시안컵 최다 우승(12회) 기록을 보유하고 있고, 하고, 특히 세계 청소년 월드컵 진출권 등이 걸린 중요한 상황에서 일본을 자주 만나는데 그때마다 출전권을 따내는 통쾌한 모습을 보여준다. 2007년 대한민국에서 개최된 U-17 월드컵에서 개최국의 이점을 잘 살리지 못하고 1승 2패로 광탈했지만, 그 멤버들을 서브로 한 U-20 대표팀이 2009년 이집트 U-20 월드컵에서 당당히 8강에 간 것만 봐도...

참고로, 대한민국 U-19/U-20 팀은 아시아 U-19 선수권 대회에서 일본을 두 대회 연속(2008년과 2010년)으로 8강에서 광탈시켜 FIFA U-20 월드컵에 두 대회 연속(2009년과 2011년)으로 일본이 출전하지 못하는 상황을 만들었다. 또한, 일본 U-19/U-20 팀은 아시아 U-19 선수권 대회 콩라인이기도 한데 6번의 준우승 중 2번은 대한민국에게 패하고 거둔 준우승이다.

2011년 FIFA U-20 월드컵에서 1승 2패로 조 3위에 머물렀으나 16강 진출에 성공하여 16강 13위를 기록했다. 이로써 FIFA 주관 대회에서 최초로 두 대회 연속 1차 라운드를 통과하는 기록을 세웠다. 남녀 전체로 보면 2010 FIFA U-17 여자 월드컵 트리니다드 토바고에 이어 두 번째. 그리고 2013년 대회도 16강에 진출해 처음으로 3개 대회 1라운드를 통과했다. 그러나 2015년 대회는 아시아 선수권에서 4강도 못가면서 탈락해 4개 대회 연속 기록을 거두진 못했다.

2017년 FIFA U-20 월드컵은 개최국으로 참가해 최다 우승팀 아르헨티나를 격파하며, 16강 10위를 기록했다. 그리고 2019 FIFA U-20 월드컵 폴란드에서는 포르투갈, 아르헨티나, 남아공의 죽음의 조를 2승 1패의 성적으로 2위로 통과하고, 16강에서 일본, 8강에서 세네갈, 4강에서 에콰도르를 이겨 1983년 FIFA U-20 월드컵의 4강을 넘어서는 성적을 달성함과 동시에 대한민국 남자 대표팀 최초로 FIFA 주관 국제대회 결승에 오른 업적을 세우고 준우승을 차지했다. 2023 FIFA U-20 월드컵 아르헨티나에서도 갑작스러운 개최지 변경[1]이라는 돌발변수를 딛고 통산 3회[2]이자 2개 대회 연속으로 준결승(4강)에 진출했다.


3. 역대 감독[편집]


[ 펼치기 · 접기 ]

1959년 이후
초대
박규정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대
황석규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3대
이기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4대
김지성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5대
박재승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6대
박대종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7대
박병석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8대
박경호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9대
우상권 / 손명섭
강준영 / 이병직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0대
안종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1대
한창화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2대
함흥철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3대
박병석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4대
유광준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5대
장운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6대
이우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7대
오완건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8대
유현철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대
유판선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대
김찬기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1대
박종환
(박종환호)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2대
김삼락
(김삼락호)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3대
정병탁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4대
오근영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5대
김삼락
(김삼락호)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6대
안세욱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7대
남대식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8대
박상인
(박상인호)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9대
원흥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30대
박이천
(박이천호)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31대
박창선
(박창선호)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32대
조영증
(조영증호)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33대
박성화
(박성화호)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34대
조동현
(조동현호)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35대
홍명보
(홍명보호)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36대
이광종
(이광종호)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37대
김상호
(김상호호)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38대
안익수
(안익수호)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39대
신태용
(신태용호)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40대
정정용
(정정용호)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41대
김정수
(김정수호)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42대
김은중
(김은중호)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43대
이창현
(임시)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44대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45대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3.1. 현 대표팀 및 감독[편집]


현 대표팀
현 사령탑
계약기간
본선 진출 및 성적


4. 주요 국제 대회별 기록[편집]



4.1. FIFA U-20 월드컵[편집]


FIFA U-20 월드컵 역대 성적 서열: 10위
②④④
대회결과순위승점[3]경기득점실점비고
파일:튀니지 국기.svg 1977본선 진출 실패[16개국]
파일:일본 국기.svg 19791라운드9위3311113[4]
파일:호주 국기.svg 19811라운드11위2310245
파일:멕시코 국기.svg 19834위[5]6630389[6]
파일:소련 국기.svg 1985본선 진출 실패[16개국]
파일:칠레 국기.svg 1987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1989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19918강8위3411237[7]
파일:호주 국기.svg 19931라운드12위3303044[8]
파일:카타르 국기.svg 1995본선 진출 실패[16개국]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19971라운드22위13012514
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19991라운드19위3310256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2001본선 진출 실패[24개국]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200316강16위3410335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20051라운드17위3310235
파일:캐나다 국기.svg 20071라운드19위2302145
파일:이집트 국기.svg 20098강6위7521296
파일:콜롬비아 국기.svg 201116강13위4411234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20138강8위6513188[9]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2015본선 진출 실패[24개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716강10위6420265[10]
파일:폴란드 국기.svg 2019준우승2위13741298[11]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20234위[12]1173221010[13]
합계16/23826722162985104

대한민국 U-20 대표팀의 U-20 월드컵 전적은 22승 16무 29패로 승점 82점을 기록하고 있으며 총 85득점 104실점을 기록 중이다. 대한민국 U-20 대표팀의 상대 전적은 다음과 같다.
국가명전적대회 연도
브라질6패1981, 1983, 1991, 1997, 2005, 2007
아르헨티나3승1991, 2017, 2019
에콰도르2승2019, 2023
우루과이1승 1패1983, 1999
파라과이1승 2패1979, 2003, 2009
콜롬비아1무 1패2011, 2013
캐나다1승1979
멕시코1승1983
쿠바1승2013
미국1승 2무 1패1993, 2003, 2007, 2009
온두라스1무2023
포르투갈2무 4패1979, 1991, 1999, 2013, 2017, 2019
독일1승 1무2003, 2009
이탈리아1승 1패1981, 2023
프랑스1승 2패1997, 2011, 2023
아일랜드1무1991
튀르키예1무1993
스페인1무2011
폴란드1무 1패1983, 2007
잉글랜드1무 1패1993, 2017
루마니아1패1981
스코틀랜드1패1983
스위스1패2005
우크라이나1패2019
이스라엘[14]1패2023
말리2승1999, 2011
나이지리아2승 1패2005, 2013, 2023
기니1승2017
남아프리카공화국1승 1무1997, 2019
세네갈1무2019
감비아1무2023
가나1패2009
카메룬1패2009
호주1승1983
일본1승 1패2003, 2019
이라크1무2013
대륙별 상대 전적은 다음과 같다.

남미 : 7승 1무 10패
북중미 : 4승 3무 1패
유럽 : 3승 8무 14패
아프리카 : 6승 3무 3패
아시아 : 1승 1무 1패
오세아니아 : 1승[15]

대륙별 상대 전적을 보면 알 수 있듯이 유럽을 상대로는 심각할 정도로 열세를 보이지만, 남미를 상대로는 브라질에게 당한 6패를 빼면 꽤 준수한 상대전적을 기록하고 있다. 북중미와 아프리카, 오세아니아를 상대로는 우세, 같은 대륙인 아시아 팀을 상대로는 호각세를 보이고 있다. 대한민국이 U-20 월드컵에서 총 29패를 기록했는데 이 중 24패가 유럽과 남미를 상대로 기록한 것이다. 그리고 남미 팀을 상대로 기록한 10번의 패배 중 무려 6번이 브라질 단 1팀을 상대로 기록한 것이고 유럽 팀을 상대로 기록한 14번의 패배 중 무려 4번이 포르투갈 단 1팀을 상대로 기록한 것이다.

대한민국이 U-20 월드컵에서 승리를 거둔 팀은 아르헨티나(3승), 말리(2승), 에콰도르(2승), 나이지리아(2승), 독일(1승), 우루과이(1승), 멕시코(1승), 일본(1승), 이탈리아(1승), 호주(1승), 파라과이(1승), 미국(1승), 캐나다(1승), 남아프리카 공화국(1승), 기니(1승), 쿠바(1승), 프랑스(1승)로 총 17팀이다. 아르헨티나와 말리, 에콰도르, 나이지리아를 빼면 모두 1번씩만 이겼다. 이 중에서 아르헨티나, 말리, 멕시코, 호주, 에콰도르, 캐나다, 기니, 쿠바까지 총 8팀을 상대로 전승을 기록 중이다.

반면 패배를 기록한 팀은 브라질(6패), 포르투갈(4패), 프랑스(2패), 파라과이(2패), 가나(1패), 잉글랜드(1패), 이탈리아(1패), 우루과이(1패), 나이지리아(1패), 일본(1패), 폴란드(1패), 콜롬비아(1패), 루마니아(1패), 미국(1패), 스코틀랜드(1패), 스위스(1패), 카메룬(1패), 우크라이나(1패), 이스라엘(1패)로 총 18팀이다. 이 중에서 브라질, 프랑스, 가나, 루마니아, 스코틀랜드, 스위스, 카메룬, 우크라이나, 이스라엘까지 총 9팀을 상대로 전패를 기록 중이다. 특히 브라질을 상대로는 총 6번 맞붙어서 6전 전패를 기록했다.

대한민국은 U-20 월드컵에서 우세를 기록하고 있는 팀은 아르헨티나, 말리, 독일, 남아프리카 공화국, 멕시코, 호주, 에콰도르, 캐나다, 기니, 쿠바, 나이지리아까지 총 11팀이다. 이 중 독일과 남아프리카 공화국, 나이지리아를 제외한 나머지 8팀을 상대로 전승을 기록하고 있다.

호각세를 기록하고 있는 팀은 미국, 우루과이, 일본, 스페인, 아일랜드, 터키, 이라크, 세네갈, 온두라스, 감비아, 이탈리아까지 총 11팀이다. 미국을 상대로는 1승 2무 1패를 기록 중이고 우루과이, 일본과 이탈리아를 상대로는 각각 1승 1패를 기록 중이며 나머지 팀은 모두 1무이다.

그 밖에 브라질, 포르투갈, 파라과이, 프랑스, 잉글랜드, 콜롬비아, 폴란드, 가나, 루마니아, 스위스, 카메룬, 스코틀랜드, 우크라이나, 이스라엘까지 총 14팀을 상대로 열세를 기록 중이다. 이 중 포르투갈, 파라과이, 잉글랜드, 콜롬비아, 폴란드, 프랑스를 제외한 나머지 8팀을 상대로 전패를 기록하고 있다.

대한민국이 U-20 월드컵에서 가장 많은 승점을 획득한 상대는 아르헨티나로 3경기 9점을 기록했다. 즉, 3전 전승을 거뒀다는 뜻이다. 참고로 아르헨티나는 U-20 월드컵 최다 우승국이다. 그런데도 한국을 상대로 3전 전패를 기록 중인 것이다. U-20 대표팀 한정으로 한국은 아르헨티나의 천적이나 다름없다. 아르헨티나의 뒤를 이어 아프리카의 말리와 남미의 에콰도르를 상대로도 2경기 6점을 기록했으며 나이지리아를 상대로도 3경기 6점을 기록했다. 그 다음으로 미국을 상대로 4경기 5점을 기록했다.

반면, 포르투갈어권 국가를 상대로는 매우 약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브라질을 상대로는 아르헨티나와 달리 6번이나 맞붙었지만 6번 모두 패배했다. 포르투갈을 상대로도 6번이나 만났지만 2번은 비겼고 4번은 패배하여 단 1번도 이겨보지 못했다. 한국이 U-20 월드컵에서 총 26패를 기록했는데 이 중 무려 10패가 브라질과 포르투갈을 상대로 기록한 것이다.

대한민국의 단일 경기 최다 득점은 4골로 1981년에 이탈리아를 상대로 4 : 1 승, 1999년에 말리를 상대로 4 : 2 승을 거둘 때 기록한 점수다. 최다 점수 차 승리는 3점 차 승리인데 1981년 이탈리아를 상대로 4 : 1, 2009년에 미국과 파라과이를 상대로 3 : 0, 2017년 기니를 상대로 3 : 0 승리를 거둔 게 그것이다.

반면 단일 경기 최다 실점은 10골로 이른바 쿠칭 참사라 불리는 경기에서 벌어졌다. 1997년에 브라질을 상대로 무려 3 : 10이라는 큰 점수 차로 대패해 단일 경기 최다 실점 및 최다 점수 차 패배의 기록을 갱신하는 굴욕을 당했다. 이 때 브라질의 아다일톤 선수 한 사람에게만 무려 6골을 내줬다.[16]


4.2. AFC U-20 아시안컵[편집]


연도결과순위경기득점실점승점비고
말레이시아 1959결선리그[a]우승4400838[17]
말레이시아 1960결선리그[a]우승44001648[18]
태국 1961조별리그6위5131965
태국 1962준우승2위53111427
말레이시아 1963우승1위642016610
남베트남 19644강4위4202494
일본 1965조별리그9위4103452
필리핀 19668강7위3111523
태국 1967조별리그9위3111873
대한민국 19684강3위752018412
태국 19698강5위4202944
필리핀 19704강3위64021138
일본 1971준우승2위6231857
태국 1972준우승2위6411839
이란 19734강3위6321518
태국 19744강3위650111710
쿠웨이트 1975불참
태국 19764강3위6312737
이란 19778강6위4130305
방글라데시 1978우승1위63301239
태국 1980결선리그우승4310937
태국 1982결선리그우승3210725
아랍에미리트 1985예선 탈락
사우디아라비아 1986조별리그5위3111923
카타르 1988조별리그5위3111323
인도네시아 1990우승1위5230317
아랍에미리트 1992준우승2위640218108
인도네시아 1994조별리그5위4121765
대한민국 1996우승1위660018318
태국 1998우승1위642012614
이란 2000조별리그5위42111137
카타르 2002우승1위651013116
말레이시아 2004우승1위632111711
인도네시아 20064강3위651019316
사우디아라비아 20084강4위5302739
중국 20104강3위53116410
아랍에미리트 2012우승1위642011414
미얀마 2014조별리그11위3111724
바레인 2016조별리그9위3201646
인도네시아 2018준우승2위641112613
우즈베키스탄 2023[19]4강3위53209111
합계우승(12회)39/411901124632374144303


5. 같이보기[편집]


[ 펼치기 · 접기 ]

1호2호3호4호5호

이태호
63분
파일:캐나다 국기.svg
C조 2차전

곽성호
7분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B조 1차전

최순호
12분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B조 1차전

최순호
29분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B조 1차전

이경남
88분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B조 1차전
6호7호8호9호10호

노인우
29분
파일:멕시코 국기.svg
A조 2차전

신연호
89분
파일:멕시코 국기.svg
A조 2차전

김종건
16분
파일:호주 국기.svg
A조 3차전

김종부
34분
파일:호주 국기.svg
A조 3차전

신연호
54분
파일:우루과이 국기.svg
8강전
11호12호13호14호15호

신연호
104분
파일:우루과이 국기.svg
8강전

김종부
14분
파일:브라질 국기.svg
준결승전

이기근
37분
파일:폴란드 국기.svg
3-4위전

조인철
88분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A조 1차전

최철
89분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A조 2차전
16호17호18호19호20호

최철
40분
파일:브라질 국기.svg
8강전

스티브 왓슨(OG)
57분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C조 1차전

이기형
39분
파일:미국 국기.svg
C조 3차전

이기형
52분
파일:미국 국기.svg
C조 3차전

박진섭
54분
파일:프랑스 국기.svg
B조 2차전
21호22호23호24호25호

박진섭
68분
파일:프랑스 국기.svg
B조 2차전

이관우
56분
파일:브라질 국기.svg
B조 3차전

정석근
73분
파일:브라질 국기.svg
B조 3차전

이정민
89분
파일:브라질 국기.svg
B조 3차전

김건형
37분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D조 1차전
26호27호28호29호30호

설기현
3분
파일:말리 국기.svg
D조 3차전

나희근
22분
파일:말리 국기.svg
D조 3차전

설기현
35분
파일:말리 국기.svg
D조 3차전

이동국
69분
파일:말리 국기.svg
D조 3차전

이호진
51분
파일:독일 국기.svg
F조 1차전
31호32호33호34호35호

이종민
70분
파일:독일 국기.svg
F조 1차전

최성국
38분
파일:일본 국기.svg
16강전

신영록
25분
파일:스위스 국기.svg
F조 1차전

박주영
89분
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F조 2차전

백지훈
90+2분
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F조 2차전
36호37호38호39호40호

신영록
38분
파일:미국 국기.svg
D조 1차전

심영성
83분
파일:브라질 국기.svg
D조 2차전

신영록
89분
파일:브라질 국기.svg
D조 2차전

이상호
71분
파일:폴란드 국기.svg
D조 3차전

김민우
71분
파일:독일 국기.svg
C조 2차전
41호42호43호44호45호

김영권
23분
파일:미국 국기.svg
C조 3차전

김보경
42분
파일:미국 국기.svg
C조 3차전

구자철
75분
파일:미국 국기.svg
C조 3차전

김보경
55분
파일:파라과이 국기.svg
16강전

김민우
60분
파일:파라과이 국기.svg
16강전
46호47호48호49호50호

김민우
70분
파일:파라과이 국기.svg
16강전

박희성
31분
파일:가나 국기.svg
8강전

김동섭
82분
파일:가나 국기.svg
8강전

김경중
50분
파일:말리 국기.svg
A조 1차전

장현수
80분
파일:말리 국기.svg
A조 1차전
51호52호53호54호55호

김영욱
50분
파일:프랑스 국기.svg
A조 2차전

권창훈
51분
파일:쿠바 국기.svg
B조 1차전

류승우
83분
파일:쿠바 국기.svg
B조 1차전

류승우
45분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B조 2차전

김현
76분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B조 2차전
56호57호58호59호60호

송주훈
16분
파일:콜롬비아 국기.svg
16강전

권창훈
25분
파일:이라크 국기.svg
8강전

이광훈
50분
파일:이라크 국기.svg
8강전

정현철
120+2분
파일:이라크 국기.svg
8강전

이승우
36분
파일:기니 국기.svg
A조 1차전
61호62호63호64호65호

임민혁
76분
파일:기니 국기.svg
A조 1차전

백승호
81분
파일:기니 국기.svg
A조 1차전

이승우
18분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A조 2차전

백승호
42분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A조 2차전

이상헌
36분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16강전
66호67호68호69호70호

김현우
69분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F조 2차전

오세훈
42분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F조 3차전

조영욱
57분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F조 3차전

오세훈
84분
파일:일본 국기.svg
16강전

이강인
62분
파일:세네갈 국기.svg
8강전
71호72호73호74호75호

이지솔
90+8분
파일:세네갈 국기.svg
8강전

조영욱
96분
파일:세네갈 국기.svg
8강전

최준
39분
파일:에콰도르 국기.svg
준결승전

이강인
5분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결승전

이승원
22분
파일:프랑스 국기.svg
F조 1차전
76호77호78호79호80호

이영준
64분
파일:프랑스 국기.svg
F조 1차전

김용학
58분
파일:온두라스 국기.svg
F조 2차전

박승호
62분
파일:온두라스 국기.svg
F조 2차전

이영준
11분
파일:에콰도르 국기.svg
16강전

배준호
19분
파일:에콰도르 국기.svg
16강전
81호82호83호84호85호

최석현
48분
파일:에콰도르 국기.svg
16강전

최석현
95분
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8강전

이승원
23분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준결승전

이승원
24분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3위 결정전
-
* 14호 ~ 16호 골은 1991년 남북 단일팀으로 출전한 대회에서 기록한 골이다. 이 대회의 기록은 대한민국의 기록으로 합산된다.





6. 국가별 전적[편집]


국가경기수득점실점득실차
일본4429967237+35
태국3021455421+33
중국1914233616+20
말레이시아1512124313+30
베트남145722513+12
이란147251715+2
인도네시아138233115+16
싱가폴121200686+62
홍콩121101428+34
호주12552178+9
이라크123721614+2
UAE10532155+10
우즈벡8521167+9
필리핀7700414+37
북한712469-3
사우디7214711-4
카타르6510123+9
방글라데시6330144+10
미얀마6321115+6
요르단532052+3
시리아514032+1
브루나이4400320+32
라오스4310132+11
몽골3300350+35
스리랑카3300171+16
대만3300151+14
파키스탄3300110+11
마카오2200181+17
예멘220050+5
타지키스탄211010+1
아프가니스탄110070+7
오만110040+4
동티모르110040+4
네팔110021+1
카자흐스탄1010220
쿠웨이트1010220
레바논1010000
포르투갈10037618-12
프랑스9234712-5
이스라엘8035211-9
폴란드7223880
독일622276+1
잉글랜드421153+2
러시아411265+1
체코321073+4
이탈리아320163+3
튀르키예311143+1
헝가리220030+3
슬로바키아211020+2
아일랜드211032+1
스위스210132+1
노르웨이210123-1
스페인201101-1
루마니아201136-3
우크라이나200214-3
아제르바이잔110030+3
오스트리아110021+1
핀란드1010110
크로아티아1010110
웨일즈1010000
벨기에1010000
스코틀랜드100102-2
브라질111191335-22
미국10631177+10
아르헨티나9531117+4
우루과이6312660
콜롬비아612356-1
에콰도르540175+2
멕시코5302710-3
파라과이521286+2
온두라스321075+2
트리니바드토바고220051+4
코스타리카110032+1
쿠바110021+1
캐나다110010+1
칠레100101-1
이집트532072+5
나이지리아530263+3
모로코3300300
남아공321050+5
가나3102550
말리220062+4
잠비아211041+3
세네갈2020550
콩고110021+1
카메룬100102-2
감비아110040+4
기니110030+3
뉴질랜드4310112+9
3300630+63
북마리아나1100110+11
'''{{{#fff 합계
(91)}}}'''
480269106103+588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2 11:39:35에 나무위키 대한민국 U-20 축구 국가대표팀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당초 동남아시아의 인도네시아에서 열릴 예정이었으나 대회를 불과 두 달 남짓 앞두고 정치적, 종교적인 문제로 FIFA가 개최권을 박탈했다.[2] 1983,2019,2023[3] 1994년부터 모든 FIFA 주관 대회에서 승리팀에 승점을 기존 2점에서 3점으로 확대하는 방식으로 변경되었다.[16개국] A B C 본선 월드컵에 진출 실패.[4] 첫 본선 진출[5] 4강전에서 탈락 후 3,4위전 최종 4위[6] 첫 FIFA 대회 4강 진출[7] 남북단일팀 출전[8] 무패탈락[24개국] A B 본선 월드컵에 진출 실패.[9] 3대회 연속 1R 통과[10] 개최국[11] 대한민국 남자 축구 첫 FIFA 주관대회 준우승(여자 축구는 2010년 FIFA U-17 여자 월드컵 우승을 경험한 바 있다.)[12] 4강전에서 탈락 후 3,4위전 최종 4위[13] 2회 연속 4강 진출[14] 위치는 아시아에 속해있으나 유럽 축구 연맹 소속[15] 1983년 당시 호주는 오세아니아 소속이었다.[16] 하지만 2019년 온두라스 대표팀은 엘링 홀란드에게만 9골을 먹혔다.[a] A B 이 대회는 결선리그 진출국 4개국이 4강 풀리그로 진행하는 대회였다.[17] 대한민국의 첫 우승[18] 대한민국의 두 번째 우승[19] 명칭을 U-20 아시안컵으로 변경